반응형 위스키 및 증류소이야기28 버팔로트레이스 BTAC(버팔로트레이스 앤틱 컬렉션) BTAC은 -조지 T. 스택 -이글레어 17 -윌리엄 라우 웰러 -토마스 H. 핸디 -세즈락 18년 라이 3개의 버번과 2개의 라이 위스키를 합친 컬렉션 앤틱 컬렉션이라고 부른다 패피반윙클과 함께 BTAC 시리즈가 등장하면 속칭 버번붐이라는 게 시작되었다 msrp(정가) 라는 게 의미가 없는 하입의 상징이기도 한데 이 시리즈 이후 같은 메시빌을 쓴다는 위스키들에도 광풍이 불어 닥쳐 패피반윙클->웰러 시리즈 조지티스택->EH 테일러 후광효과로 역시 하입이 붙어서 판매가 되고 있다 버펄로 트레이스는 그야말로 프리미엄 버번의 상징으로 우뚝 서게 된다 조지 T. 스택은 1870년 E.H. 테일러와 함께 버펄로트레이스 증류소의 전신인 올드 파이어 쿠퍼(O.F.C) 증류소를 세운 세일즈맨의 이름을 따왔다. 2002.. 2024. 9. 6. 고도수 위스키가 더 맛있을까? 버번의 도수는 곧 맛의 전투력이다 즐겨보는 유튜브 남자의 취미에서 나오는 말이다 처음에는 뭔 소리야 싶었지만 이제는 어느 정도는 일리가 있는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도수를 말할때 몇 도라는 건 알코올의 함량을 말한다 도수가 45도라는 건 알코올이 45% 물이 55% 라는 것이다 알코올은 용액이 존재할 때 용질의 녹여 용액을 만드는 물질 즉 용매에 해당한다 알코올은 위스키 증류 성분뿐만 아니라 숙성 과정에서 나무에서 추출되는 물질을 포함하게 되며 일종의 그릇이라고 봤을 때 도수가 높아질수록 그만큼 많은 맛을 담게 된다고 쉽게 생각하면 된다 엔트리 프루프(entry proof) 즉 숙성을 하기 위해 증류액을 나무통에 넣기 전에 도수를 맞출 때 버번의 경우에는 법적으로 최대 125 프루프(62.5% ABV.. 2024. 9. 6. 스태그의 모든것 1. 버팔로트레이스는 매시빌 레시피를 정확하게 밝히지 않고있다 많은 팬들은 매시빌 1은 라이비중이 10% 이하 매시빌2는 라이 비중이 12% 정도이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다. 매시빌 1을 사용하는 배럴프루프는 스태그 ,조지 티 스택이다 여기서 배럴프루프란 어떠한 희석도 없이 높은 알코올함량과 강렬한 풍미를 가진 위스키를 말합니다 주로버번에서는 barrel proof 스카치에서는 CS cask strength 둘의 차이는 배럴프루프가 좀 더 높은 도수에서 병입되는편 60도 CS는 50~60도 증류소마다 마케팅을 위해 barrel strength full proof 등 다양하게 쓰는... 2. 버팔로트레이스도 같은 매시빌을 쓴다고 관계자들은 말하고있다 고도수와 연산만 다르다고한다 3. 스택주니어가 매시빌1의 .. 2024. 9. 6. 스프링뱅크 Springbank (스프링뱅크와 캠벨타운의 흥망성쇠) 스프링뱅크 이야기를 캠벨타운에 흥망성쇠에 대해서 같이 묶어서 이야기 하고자 함 [위스키의 수도 캠벨타운 campbelttown] 지도상에 캠벨타운은 항구도시로 뒤에서도 한번 설명하겠지만 아일랜드에서 위스키를 생산시 3번 증류를 하는 특징이 있는데 캠벨타운 위스키들도 역시 3중 증류를 한다 아일랜드에서 캠벨타운으로 다시 스코틀랜드 전역으로 위스키 생산법이 전파된게 아니냐는 설이 있다 항구도시라는 지리적 특성탓에 피트처리한 위스키를 생산하며 아일라만큼은 아니지만 개성있는 피트위스키로 유명해졌다 1591년 부터 캠벨타운에서 위스키를 생산했던것으로 서면으로 언급된게 최초 기록이다 1601년 당시 위스키 밀수의 중심지였고 위스키는 당시 위스게 비타(ulsge beatha) 라고도 불렀는데 이는 게일어로 생명수라는.. 2024. 9. 5. 셰리캐스크란 무엇인가? 2탄(생산과정,캐스크 종류,보데가) 4. 셰리 생산 1) 포도 재배 (1) 기후 헤레스는 유럽의 와인 생산지 중 가장 낮은 위도(북위 36도)에 있어 매우 따뜻하다. 여름에는 무덥고 건조한 아열대에 가까우며 수분 증발이 심하다 비는 대부분 겨울에 내리는게 특징 대서양의 영향으로 온도가 떨어지고 습도가 유지될 수 있다(특히 야간). 포도는 봄, 여름에 성장한다. 이때 두 가지 바람이 영향을 주는데, 서풍인 ‘포니엔테(Poniente)’와 남동풍인 ‘레반테(Levante)’이다. 포니엔테는 서늘하고 습하며(습도 ~95%), 레반테는 뜨겁고 건조하다(습도 ~30%). 이 지역의 연평균 기온은 17.3℃이며, 겨울에도 영하로 떨어지는 일이 드물다. 여름에는 40℃ 이상 올라가며, 일조 시간은 연간 3,000~3,200시간에 달한다. 강수량은 1제.. 2024. 9. 5. 셰리(sherry cask)캐스크란 무엇인가 (셰리의 정의,품종, 종류) 셰리 위스키 하면 보통 새콤 달콤 꾸덕한것을 기대했지만 막상 마셔봤을때 그런맛보다는 스파이시하거나 견과류 탄닌감이 지배해서 놀랐던 적이 있었다 제일 실망했던건 맥켈란12 쉐리... 코로나 때문에 오픈런 벌어지고 하던중에 입문하여 힘들게 구했는데 기대했던바가 아니어서 그 이후 쉐리란 뭔가 좀 어려운 녀석이었다 따라서 언제 한 번 쉐리에 대해서 공부좀 할 겸 준비한 포스팅 1.셰리란 무엇인가? 셰리(Sherry)란: 스페인 안달루시아 광역자치주, 카디스 주의 셰리 트라이앵글에서 생산된 청포도로 만든 강화 포도주를 말한다. 스페인어: Vino de Jerez(비노 데 헤레스) 영어:sherry 프랑스어: Xérès 1) 셰리 트라이앵글: 헤레스 델라 프론테라(Jerez de la Frontera) 산루카르 데.. 2024. 9. 5.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